본문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 연구과제] 정조대 국정에서 공공성(公共性)의 구현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수원시정연구원|조회수 : 6,303

바로보기

다운로드

본문

부서 수원학연구센터
연구책임 최성환
연구진 이동인
보고서 번호 SRI-기본-2014-13
과제구분 기본과제
발행일 2014-12-15
목 차

제1장 서론

제2장 공공성 연구의 동향과 전근대 조선의 공공성 
  제1절 서구 학계의 공공성 연구 동향 
      1. 공공성 연구의 주요 흐름 
      2. 국가와 시민사회에서 공공성의 문제
  제2절 전근대 동아시아의 공공성 전통에 대한 연구 동향과 반성 
      1. 동아시아의 공공성 전통에 대한 관심과 이상화의 사이 
      2. 동아시아의 공공성 전통에 대한 보편적 시각을 위하여
  제3절 보편적 공민사회(公民社會)로서 전근대 조선의 공공성 
      1. 동아시아 공민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전근대 국가 
      2. 집권적 봉건 국가의 공공성과 근대적 전환 
      3. 동아시아의 집권 국가 운영 전통과 공공성의 영역
       4. 전근대 조선의 정치에서 공공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제3장 정조의 의리 탕평과 군주적 공공성
  제1절. 조선후기 붕당정치에서 국정운영과 공공성 문제 
      1. 조선의 정치에서 군신공치와 공공성
      2. 조선후기 정치에서 사대부적 공공성과 그 한계
      3. 영조대 군주적 공공성의 부상과 그 한계
 제2절. 정조대 의리탕평과 군주적 공공성의 재구축
 제3절. 임오의리를 둘러싼 군신(君臣)의 숙의와 합의 과정
 제4절. 정조의 통합 군신의리 확립과 군주적 공공성의 전범
 
제4장 결론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