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인구·가구 구조 변화에 대비한 도시정책 구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수원시정연구원 조회수 : 700바로보기
다운로드
본문
부서 | 도시공간연구실 |
---|---|
연구책임 | 허경재 연구위원 |
연구진 | 박관아 위촉연구원 |
발행호수 | SRI 정책Brief 제18호 |
발행일 | 기본연구 |
요약 | 2022-10-31 |
* 정책Brief 내용 전체는 상단의 "바로보기"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구 기조
① 수원시 사회적 인구 증감의 중요성 대두
- 저출산·고령화 현상으로 수원시의 자연적 인구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워짐
② 수원시는 2017년 인구 정점(주민등록인구 120만 명) 이후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
- 원도심 쇠퇴 및 신도시 개발로 인해 수원시 내 지역별 인구 양극화 현상 심화
③ 수원시 미래 도시전략 구상을 위한 인구이동 기초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
- 인구·가구 구조 변화 대응, 생활SOC 등 기반시설 수요 추정을 위한 수원시 인구·가구 이동 현상 파악
정책 방안
① 경기 남부 광역권 도시들 간의 상호보완적인 도시정책 구상
- 지역별 인구 양극화를 완화하고 상호간 인구 출혈 경쟁(zero-sum)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생활권을 영위하는 지자체(경기남부지역-화성, 용인, 오산, 의왕 등)를 포괄하는 광역권 계획 수립
- 대규모로 계획된 신도시 조성, 원도심 정비사업을 통한 신규 주택공급과 관련하여 공급 규모와 시기조정 등에 대한 검토
② 지역별·세대별 차별화된 특화정책 모색
- (원도심) 서수원과의 연계 활성화, (신도시) 경기 중부지역 소재 도시들과의 연계 개발
- (청년층) 특화산업 육성 및 직주근접성 향상 → 직업사유 인구유입 유인, (중장년층) 양질의 주택공급 및 정주환경 개선 → 주택사유 인구유입 유인
③ 인구·가구 구조변화에 대비한 대응전략 구상
- (단기) 인구감소 억제(인구유출 방지) →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쾌적한 생활환경 제공 등
- (장기) 인구감소 적응(인구유입 유도) → 도시공간 재구조화, 주택 공급계획의 조정 등
키워드
이주, 주거이동, 가구 특성, 신도시·원도심, 지역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