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보도자료] [2022.10.25]수원시정연구원, '수원시 인구·가구 이동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발간

페이지 정보

작성일 : 2022-11-02 16:02|조회수 : 313

본문

수원시 및 인접 도시의 주택공급으로 인구 유입
수원시 이주사유별 이동량은 주택, 가족, 직업 순
1인가구 증가 현상이 수원에서 매우 빠르게 나타나



d178d1e752f2a349a3a16ad0a0e85716_1667372
                         수원시 인구 이동 양상 



 수원시정연구원은 수원시 인구·가구 이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국내인구이동통계 원시자료를 활용한「수원시 인구·가구 이동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수원시 인구이동의 주된 요인: 신도시 건설 및 인접 도시 주택 공급

수원시 인구이동은 지역 내 주요 개발사업, 철도노선 신설 및 연장, 인접 도시 주택 공급, 사업체 이전 이슈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01~2020년간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수원시 및 인접 도시의 주택공급이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용인 죽전 및 동백지구의 입주시기였던 2003년에 순유출이 발생했고, 화성 동탄 및 향남지구 입주가 시작되었던 2007년에도 상당히 많은 순유출이 발생했다.

광교·권선·호매실 지구 등 수원시 내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의 입주시기인 2011년 이후로 7년간 순유입 발생했으나, 2018년 화성 봉담지구 개발 이후 3년간 다시 순유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원시 인구 유입 사유: 직장, 인구 유출 사유: 주택

수원시 이주사유별 이동량은 주택, 가족, 직업 순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수원에서 다른 도시로 전출하는 경우에는 주택사유가, 수원으로 전입하는 경우에는 직업사유가 각각 우세한 것으로 분석됐다.

2015~2020년간 주택사유로 지속적인 순유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동의 방향성을 살펴보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중부지역에서 수원시로 유입하고, 화성을 위시한 수도권 남부지역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사유로는 지속적인 순유입이 발생했지만 근래 순유입량이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동의 방향성은 주택사유 이동과 동일하게 수도권 중부에서 유입한 후 수도권 남부로 유출되고 있다.

d178d1e752f2a349a3a16ad0a0e85716_1667372
              수원시 이주사유별 인구 전출입량



▲청년가구와 1인가구는 지속적으로 순유입, 그러나 유입량 감소 추세

청년가구와 1인가구는 주택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유에서 수원시로 순유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직업·교육 사유로 순유입이 두드러지는 현상이 관측됐다.

그러나 2017년 이후 주택사유로 인한 순유출이 발생하여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직업사유마저 수원시로 유입되는 이동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며, 아직은 수원시로의 유입량이 유출량보다 많지만 전체적인 순유입량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층 유입을 위한 대응 전략 필요

그간 수원은 사통팔달의 교통 접근성과 양질의 일자리, 유수의 대학들로 말미암아 수도권에서 가장 젊은 도시, 청년층이 모여드는 도시로서의 위상을 지켜왔다.

2021년 기준 수원시 중위연령(41.2세)은 전국(44.5세), 서울(43.4세), 경기(42.6세) 등 어느 곳보다 젊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정주여건이 우수하고 고소득 일자리가 많은 영통구의 중위연령은 40세를 밑돌고 있다.

그러나 수원시 주변 도시들의 대규모 주거지 개발, 과학기술 산업단지 조성, 광역교통수단의 발전 등으로 인해 청년층 인구 유입이 줄어들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가구구조 측면에서는 청년층 중심의 1인가구 증가 현상이 수원에서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체 가구 중 청년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수원시(15.0%)가 서울(17.3%)보다는 낮지만 전국(11.8%), 경기(10.4%)보다 높은 수준이며, 영통구(19.5%)는 서울보다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수원시 청년층 유입량 감소와 1인가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①시가지 내 역세권을 중심으로 부담가능한 신규 주택 공급, ②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청년층을 위한 주거비용 지원, ③중심 생활권의 복합개발·산업 유치를 통한 직주근접 실현 등 민선 8기 대표공약인 청년도시 달성을 위한 정책들이 시급하다.

이 연구는 수원시정연구원 홈페이지 연구보고서에 게시된 “수원시 인구·가구 이동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연구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팍스경제TV(http://www.paxetv.com) 성은숙 기자 beaureater@naver.com 


위로